본문 바로가기

NEWS

April 2022

KAIST “유전체 빅데이터분석 시간·비용 확 줄인다”_KAIST 한동수 교수
Download pdf
Research LIST
국내 연구진이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시켜 기존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가능케할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머신러닝(기계학습)에 기반한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유전체란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염기서열 정보의 총합으로 유전자는 생물학적 특징을 발현하는 염기서열들을 지칭한다. 유전체를 한 권의 책이라고 비유하면 유전자는 공백을 제외한 모든 글자라고 비유할 수 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은 유전체 정보를 해독하는 방법으로 유전체를 무수히 많은 조각으로 잘라낸 후 각 조각을 참조 유전체에 기반해 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조립된 유전체 정보는 암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예측과 맞춤형 치료, 백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으로 생성한 유전체 조각 데이터를 온전한 유전체 정보로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다. 유전체 정렬 작업에는 많은 연산이 들어가며,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낮추는 방법에 관한 관심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반의 인덱싱(색인) 기법을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에 적용한 사례는 이번이 최초다.
연구팀이 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의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는 연산량을 대폭 줄이면서도 표준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 BWA-MEM2과 동일한 결과를 만들어 정확도를 유지했다. 사용한 머신러닝 기반의 인덱싱 기법은 주어진 데이터의 분포를 머신러닝 모델이 학습해, 데이터 분포에 최적화된 인덱싱을 찾는 방법론이다. 데이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덱싱 방법을 사람이 정하던 기존의 방법과 대비된다.
연구팀이 제안한 알고리즘은 머신러닝 기반의 인덱싱 기법을 활용, 유전자 조각 길이와 상관없이 적은 연산량으로도 유전자 조각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연구팀이 제안한 인덱싱 기법은 기존 인덱싱 기법과 비교해 3.4배 정도 가속화됐고, 이로 인해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는 1.4 배 가속화됐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유전체 정렬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로 공개돼 많은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유전체 분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머신러닝 기술로 가속화하는 연구들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동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계학습 기술을 접목해 전장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기존 방식보다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전장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효율화, 고도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영목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옥스포드 바이오인포메틱스’ 3월 공개됐다.